무녀의 예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녀의 예언》은 북유럽 신화의 중요한 시로, 우주의 창조, 신들의 황금 시대, 라그나로크,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다룬다. 이 시는 뵐바(Völva)가 오딘에게 자신의 기억에 기초한 고대 지식을 읊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세계의 창조, 라그나로크와 그 이후의 부활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다. 《무녀의 예언》은 《고 에다》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시 중 하나로,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 특히 종말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10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며, 기독교적 영향과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 시는 J. R. R. 톨킨, 텔레비전 드라마 《바이킹》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다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다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 창조 신화 - 몽환시
몽환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세계관, 창조 신화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세상과 만물이 창조된 시대를 의미하며 조상들의 행적과 그들이 남긴 법과 관습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시간 개념을 가진다. - 창조 신화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무녀의 예언 | |
---|---|
개요 | |
![]() | |
원래 제목 | Vǫluspǫ́ |
원래 제목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장르 | 시 |
운율 | 포르뉘르질라그 |
정보 | |
저자 | 알려지지 않음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수록처 | 고 에다 |
2. 내용
헤임달의 아들들(인간)에게 침묵을 요구하는 뵐바의 말로 시는 시작되며, 그녀는 오딘에게 자신의 기억에 기초한 고대 지식을 읊어주기를 원하는지 묻는다. 그녀는 그녀를 키운 고대 시대에 태어난 요툰과 아홉 개의 세계, 그리고 생명의 나무(세계수)를 기억한다고 말한다.
뵐바는 창조 신화를 간략히 읊고, 오딘에게 자신이 어떻게 지식을 얻었는지, 그리고 오딘과 다른 아스가르드 신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북유럽 신화의 다양한 에피소드를 언급한 후, 라그나로크와 그에 이은 세계의 재생에 대해 이야기하며 끝을 맺는다.
도중에 드워프의 요정Dvalinn|드발린영어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절은 "드베르가탈"(Dvergatal)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부분은 나중에 추가된 부분으로 간주되어, 편집자나 번역자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14]
뵐바는 굴베이그가 불타면서 최초의 "민족" 전쟁이 시작되었고, 에시르 신들과 바니르 신들 사이에 투쟁이 있었다고 회상한다. 그 후 그녀는 여신 프레이야가 요툰들에게 주어졌던 때를 회상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길피의 속임수에서 언급된 요툰 건축가에 대한 신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뵐바는 오딘에게 그의 비밀 중 일부를 알고 있으며, 지식을 얻기 위해 눈을 희생했다는 것을 밝힌다. 그녀는 그의 눈이 숨겨진 곳을 알고 있으며, 그가 지식과 교환하여 그것을 포기한 방법을 알려준다. 몇몇 후렴구에서 그녀는 그가 이해하는지, 또는 더 듣고 싶은지 묻는다.
2. 1. 창조 신화
뵐바는 창조 신화를 읊기 시작한다. 이미르를 언급하며, 세상은 마법의 공허인 긴눙가가프에 불과했다고 말한다.[2] 보르의 아들들이 바다에서 땅을 들어 올리기 전까지는 그랬다.[3] 그 후 에시르 신들은 태양, 달, 별의 위치를 정해 우주에 질서를 확립하고 낮과 밤의 순환을 시작했다. 에시르 신들은 금을 풍족하게 가지며 황금 시대를 누렸고, 기쁘게 신전을 건설하고 도구를 만들었다. 그러나 요툰헤임에서 세 명의 강력한 처녀들이 나타나면서 황금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다. 그 후 에시르 신들은 드워프를 창조했는데, 그중 모트소그니르와 두린이 가장 강력하다.2. 2. 신들의 황금시대와 몰락
보르의 아들들이 바다에서 땅을 들어 올리기 전까지 세상은 마법의 공허, 긴눙가가프에 불과했다.[2][3] 에시르 신들은 태양, 달, 별의 위치를 정함으로써 우주에 질서를 확립하여 낮과 밤의 순환을 시작했다. 에시르 신들은 금을 풍족하게 가지며 신전을 건설하고 도구를 만들었고 황금 시대를 누렸다. 그러나 요툰헤임에서 온 세 명의 강력한 처녀들이 나타나 황금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다. 그 후 에시르 신들은 드워프를 창조했는데, 그중 모트소그니르와 두린이 가장 강력하다.최초의 인간의 창조와 위그드라실이라는 세계수의 묘사가 이어진다. 뵐바는 굴베이그의 불태움을 회상하는데, 이는 최초의 "민족"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헤이드르는 신들의 전쟁과 관련하여 굴베이그가 사용한 이름이다.[4] 그리고 에시르 신들과 바니르 신들 사이의 투쟁에서 일어난 일들을 회상한다.
2. 3. 라그나로크 (Ragnarǫk)
뵐바는 신들 중 가장 아름답고 공정한 발드르의 살해와 로키를 비롯한 다른 이들의 적대심에 대해 묘사한다.[4] 뵐바는 그 후 신들의 파멸을 예언하는데, 불과 홍수가 하늘과 땅을 압도하면서 신들은 그들의 적들과 마지막 전투를 벌인다. 이것이 바로 "신들의 운명", 라그나로크이다. 그녀는 전투 소집, 오딘을 죽인 펜리르를 포함한 많은 신들의 죽음을 묘사한다. 천둥의 신이자 땅의 맹세된 수호자인 토르는 세계 뱀 요르문간드와 맞서 싸워 승리하지만, 뱀의 독으로 인해 토르는 아홉 걸음만 걷고 쓰러진다. 비다르는 펜리르와 맞서 싸워 턱을 벌린 다음 창으로 늑대의 심장을 찌른다. 신 프레이는 태양보다 더 밝게 빛나는 불칼을 휘두르는 거인 수르트와 싸우다 쓰러진다.2. 4. 새로운 세계

뵐바는 죽음과 파괴의 잿더미에서 아름다운 세계가 부활한다고 예언한다. 발드르와 호드르는 새로운 세계에서 다시 살 것이며, 씨앗을 뿌리지 않아도 땅이 풍요롭게 싹틀 것이다. 살아남은 에시르 신들은 헤니르와 재회하여 이다볼에서 만나 요르문간드, 과거의 중요한 사건, 그리고 룬 문자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 연에서는 시체들을 날개에 싣고 다니는 드래곤 니드호그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을 묘사한 후, 뵐바는 혼수 상태에서 벗어난다.[14]
3. 등장인물
오딘은 뵐바에게 예언을 요청하고, 뵐바는 헤임달의 아들들(인간)에게 침묵을 요구하며 예언을 시작한다.[2] 뵐바는 자신이 고대 시대에 태어난 요툰과 아홉 개의 세계, 그리고 생명의 나무(세계수)를 기억한다고 말한다.
뵐바는 이미르를 언급하며 세상이 마법의 공허, 긴눙가가프에 불과했던 창조 신화를 읊는다.[2] 보르의 아들들이 바다에서 땅을 들어 올리고, 에시르 신들이 태양, 달, 별의 위치를 정함으로써 우주에 질서를 확립하여 낮과 밤의 순환을 시작했다. 요툰헤임에서 세 명의 강력한 처녀들이 나타나기 전까지 황금 시대가 이어졌고, 에시르 신들은 드워프를 창조했는데, 그중 모트소그니르와 두린이 가장 강력하다.
최초의 인간 창조와 위그드라실이라는 세계수에 대한 묘사 이후, 뵐바는 굴베이그의 불태움이 최초의 "민족"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에시르 신들과 바니르 신들 사이의 투쟁을 회상한다.[4]
뵐바는 오딘에게 그의 비밀 중 일부를 알고 있으며, 지식을 얻기 위해 눈을 희생했다는 것을 밝히고, 그의 눈이 숨겨진 곳과 그가 지식과 교환하여 그것을 포기한 방법을 알려준다.
뵐바는 신들의 파멸인 라그나로크를 예언하는데, 불과 홍수가 하늘과 땅을 압도하면서 신들은 그들의 적들과 마지막 전투를 벌인다.
이후, 뵐바는 죽음과 파괴의 잿더미에서 부활한 아름다운 세계를 예언하며, 발드르와 호드르가 새로운 세계에서 다시 살 것이며, 씨앗을 뿌리지 않아도 땅이 풍요롭게 싹틀 것이라고 한다. 살아남은 에시르 신들은 헤니르와 재회하여 이다볼에서 만나 요르문간드, 과거의 중요한 사건, 그리고 룬 문자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 연에서는 시체들을 날개에 싣고 다니는 드래곤 니드호그가 갑자기 나타난다.
"드베르가탈"("드워프의 목록")이라고 불리는 드워프의 이름이 적힌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편집자들과 번역가들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14]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는 신, 거인 및 괴물, 기타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3. 1. 신
오딘은 지혜와 전쟁의 신으로, 뵐바에게 예언을 듣는다.[2] 토르Þórrnon는 천둥의 신으로, 요르문간드와 싸우지만 뱀의 독으로 인해 아홉 걸음만 걷고 쓰러진다. 프레이는 풍요의 신으로, 수르트와 싸우다 쓰러진다. 비다르는 오딘의 아들로, 펜리르와 맞서 싸워 턱을 벌린 다음 창으로 늑대의 심장을 찔러 복수한다. 발드르는 빛의 신으로,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한다. 호드르는 발드르의 형제로,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한다. 헤니르는 라그나로크에서 살아남는 신 중 하나로, 이다볼에서 다른 신들과 재회한다. 로키는 장난과 속임수의 신으로, 라그나로크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4]3. 2. 거인 및 괴물
이미르는 태초의 거인으로, 오딘과 그의 형제들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몸으로 세상이 창조되었다.[2] 수르트는 불의 거인으로, 라그나로크에서 프레이와 싸우다 쓰러진다.[3]펜리르는 오딘을 죽인 거대한 늑대이다. 비다르는 펜리르와 맞서 싸워 턱을 벌린 다음 창으로 늑대의 심장을 찌른다. 토르는 세계 뱀 요르문간드와 맞서 싸워 승리하지만, 뱀의 독으로 인해 아홉 걸음만 걷고 쓰러진다.
마지막 연에서는 시체들을 날개에 싣고 다니는 드래곤 니드호그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을 묘사한다.
3. 3. 기타
4. 보존 및 자료
《무녀의 예언》의 많은 연들은 먼저 1220년경에 쓰여진 산문 에다에 나타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1300년경에 제작되었으며, 이 안에서 연들이 인용되거나 의역되었다. 전체 시는 아이슬란드 왕립 필사본 (1270년경)과 호크 에를렌손의 《호크스보크》(1334년경) 필사본에서 발견되며, 13세기 후반의 왕립 필사본 버전이 일반적으로 시의 편집본의 기반으로 여겨진다.
연의 순서와 수는 현존하는 자료에 따라 다르다. 일부 편집자와 번역가들은 자료를 더 재배열했다. 「무녀의 예언」은 『왕의 사본』(1270년경)과 호크 엘렌손의 저서 『호쿠스보크』(1334년경) 안에 남아 있었다. 또한 많은 연들이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1220년경 성립,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본은 1300년경의 것) 속에 인용되어 있다. 각 연의 순서나 총수, 내용은 이들 자료에 따라 다르다. 게다가 후세의 편집자나 번역자에 의해 연의 배열이 변경되기도 한다.
5. 해석 및 평가
《무녀의 예언》은 《고 에다》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시 중 하나이며,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이전인 10세기에 쓰여졌다.[5] 일부 학자들은 텍스트에 시빌 예언과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기독교적 영향이 있다고 주장한다.[7][8] 헨리 애덤스 펠로우즈는 1936년에 《무녀의 예언》의 저자가 기독교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시에 불어넣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펠로우즈는 이 시가 이교주의와 기독교 사이의 과도기였던 10세기에 쓰여졌으며, 기독교가 아이슬란드의 공식 종교로 선포되기 전, 그리고 이후 개인적으로 실천될 경우 구 이교주의가 용인되기 전까지 두 종교가 공존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는 이러한 주입으로 인해 이교 전통이 본토 스칸디나비아와는 달리 아이슬란드에서 어느 정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9]
2018년 3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중세 역사가와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961년으로 추정되는 아이슬란드 시, 볼루스파가 939년 Eldgjá 화산 폭발에 대한 대략 동시대 연대기라는 점을 시사했다.[6] 이 연구자들은 Eldgjá 폭발의 극적인 이미지가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드베르가탈'' 전체와 "모든 것을 지배하는 강력한 자"에 대한 언급이 나중에 삽입된 것이라고 주장한다.[5] 일부는 후자의 인물을 예수와 동일시했지만, 펠로우즈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9]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J. R. R. 톨킨은 1937년 판타지 소설 《호빗》에서 드워프와 마법사 간달프의 이름으로 《무녀의 예언》의 드베르가탈에서 이름을 따왔다.[10] TV 드라마 《바이킹》에서 《무녀의 예언》의 연들이 노래와 전투 구호로 사용된다. 2012년 부르줌의 앨범 《움스키프타르》는 《무녀의 예언》의 가사를 인용한다.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도 《무녀의 예언》의 다양한 연들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Viking Way, Magic and Mind in Late Iron Age Scandinavia
Oxbow Books, Oxford and Philadelphia
2019
[2]
웹사이트
Germanic religion and mytholog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3-08
[3]
웹사이트
Ginnungagap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4]
서적
The Viking Way, Magic and Mind in Late Iron Age Scandinavia
Oxbow Books, Oxford and Philadelphia
2019
[5]
서적
Den poetiska Eddan
1972
[6]
웹사이트
A Volcanic Explosion 1,000 Years Ago Was So Brutal, It Slayed Icelandic Gods
https://www.sciencea[...]
2018-03-20
[7]
논문
on Christian influences, see the following articles: "The Background and Scope of Vǫluspá" by Kees Samplonius, "Vǫluspá and the Sibylline Oracles with a Focus on the ‘Myth of the Future’" by Gro Steinsland, "Vǫluspá, the Tiburtine Sibyl, and the Apocalypse in the North" by Karl G. Johansson, and "Manifest and Latent Biblical Themes in Vǫluspá" by Pétur Pétursson, all articles in ''The Nordic Apocalypse: Approaches to Völuspa and Nordic Days of Judgement.
Brepols Publishers
2013
[8]
웹사이트
Review for The Nordic Apocalypse: Approaches to Völuspa and Nordic Days of Judgement
https://jfr.sitehost[...]
2015-02-11
[9]
웹사이트
The Poetic Edda: Voluspo
https://www.sacred-t[...]
1936
[10]
서적
The History of The Hobbit
HarperCollins
2007
[11]
간행물
エッダ詩
青土社
2007
[12]
서적
古アイスランド語入門
[13]
서적
北欧神話
青土社
1992
[14]
서적
巫女の予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